그라나도 에스파다는 라그나로크로 유명한 김학규님이 개발한 신작 프로젝트이다. 김학규님의
네임벨류와 라그나로크의 게임성이나 인지도로 많은 기대를 모은 작품. MMORPG의 블럭버스터
화를 가속시킨 게임으로 개발비용이 마케팅 문구로 쓰이게 된 계기가 되었다. 굉장한 유저들의
관심덕분에 힘든 런칭을 경험하였으며(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과도한 관심은 서비스 실패와 관계가
있다.) 현재 순조롭게 오픈베타를 하고 있다.
일단 그라나도 에스파다의 특징은
1.존 로딩 방식.
2.근대 유럽의 시대적 배경.
3.적극적인 라이트맵.
일단 MMORPG에서 쓰이는 배경 로딩방식에 대해 약간의 설명을 하자면 리니지나, WOW같이
유저가 이동하면 조금씩 맵을 불러오는 방식의 심리스 방식이 있고, 그라나도 에스파다처럼
한꺼번에 배경을 불러오는 존로딩 방식이 있다.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존로딩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면,
장점. 1.지형을 그래픽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만들수 있다.
심리스 방식의 지형은 그 구조상 지형표현에 한계가 많다. 그러나 존로딩 방식은 그러한
제약이 훨씬 적다.
2.레디오시티 라이트맵을 만들수 있다.
지형과 오브젝트 모두 맥스 오브젝트로 존재하므로 심리스에 비해 손쉽게 라이트맵을
만들수 있다.
3.지역 업데이트를 보다 자연스럽게 할수있다.
심리스는 일단 지형이 전부 공개되어있으므로 갑자기 운하가 생기거나 동굴이 생기는등
의 변화를 꾀하기 힘들다. 하지만 존로딩방식은 포탈을 이용하듯이 전혀 다른
배경을 보여주더라도 쉽게 유저들에게 받아들여진다.
반면에 단점은
1.작업시간이 오래걸린다.
치명적인 약점으로 숙련된 디자이너가 아니라면 분명히 고생하는 방식이다. 작업에 제약이
적으므로 더욱 많은 부분을 만들어야 하고 꼼꼼하게 충돌체크를 만들어야 한다. 건물이라도
옮기게 되면 라이트맵을 당연히 다시만들어야 하므로 고생 백배.
2.넓은 지역 표현불가.
이동할때는 반드시 포탈을(문같은것) 이용해야 하므로 포탈 주변을 어색하지 않게 꾸미는
것도 큰일이지만 로딩이 되지 않는 부분을 보여줄수 없으므로 어쩔수 없이 폐쇠적인 공간
구성이 될수밖에 없다.(사냥터가 좁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3.시스템 요구사항이 높다.
지형을 고정된 폴리곤으로 표현하므로 당연히 LOD가 안되고, 지역을 이동할때마다
로딩을 해야한다. 캐릭터를 3명이나 조종하므로 각 캐릭터의 텍스쳐 정보와 배경 텍스쳐,
스펙큘러맵, 라이트맵을 합하면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게 된다.(당연히 그라나도 에스파다는
메모리를 특별히 관리하는 부분이 있을것이다.)
당연히 위의 단점은 IMC에서도 알고 있으므로 각각 대책을 쓰고 있는데 각 대응책은
1.항상 배경 그래픽 디자이너를 모집하고 있다.(뭐... 이건 딴데도 마찬가지지만.)
2.특별한 사냥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던전방식을 쓰고있다.
3.저사양 옵션을 제공한다.
기술적인 특징은 위와 같고 디자인적인 부분에서는 근대의 유럽을 세계관으로 채택함에 따라 다른
게임과의 차별점을 주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은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관된 세계관을
유지하기 쉽고 화려하면서도 럭셔리한 분위기를 찾는(꽃미남, 꽃미녀 열풍과도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함) 현대 트랜드에도 잘맞는다.


존로딩 방식이라 일반 필드를 어떻게 꾸밀지 무척 궁금하던 차에 처음으로 공개된 필드 그래픽이다. 역시나 좁은 지역을 빽빽한 밀도로 구성한것이 눈에 뜨인다.

나무는 대세인 스피드 트리를 쓰고 있다. 제한된 공간때문에 몬스터를 피해 원하는 지역까지 가기가 쉽지않다. 또 위의 스샷을 보면 알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몬스터가 너무 커보이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위의 몬스터는 매우 약한 종류다.)

세계관을 지키면서 여러 변화를 주려고 노력한 느낌이 드는 스크린샷, 스카이라인이나 오브젝트의 배치등 나무랄데가 없다. 다만 색이 조금 단조로운 느낌이 든다.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것이 분명한 화면. 건물은 독일식으로 지어졌고 근대의 재래식 시장을 잘 표현했다. 라이트맵으로 표현한 그림자도 자연스러워 멋지게 보인다.( 이 스샷은 디카로 찍은듯 실제 게임화면과는 약간 색감이 다르다.)


던전 화면. 음습한 지하실의 느낌이 잘나타나있다. 다만 위의 스샷은 라이트맵과 광원의 위치가 맞지 않는다. 아마도 라이트맵 갱신을 안했거나 라이트맵을 손으로 그려서 넣은 화면이 아닐지...

지역마다 라이팅의 느낌이 조금씩 다른데 이곳은 레디오시티를 사용한듯 그라데이션이 멋지게 표현되었다. 다만 조금 SF적인 느낌이 들어 세계관과는 조금 잘 안맞는듯 하다.

지하 던젼의 입구인듯하다. 빨간색과 하늘색의 색상대비가 불안감을 강조하고있다. 기분나쁘게 쳐진 쇠사슬이나 난간없는 다리등 표현하려는 분위기를 각각의 소품이 잘 전해주고 있다.
